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데이터베이스 구조 튜닝과 설계 고려사항

by 유형제맘 2025. 8. 17.

데이터베이스 성능 최적화는 단순 쿼리 튜닝을 넘어 DB 구조 설계와 튜닝이 핵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 모델링, 테이블 설계, 인덱스, 파티셔닝, 정규화/반정규화 등 실무 고려사항을 정리합니다.


1. 테이블 설계 고려사항

  • 컬럼 타입 최적화: 필요 최소 크기, 적합한 자료형 사용
  • NULL 처리: 불필요한 NULL 허용 최소화 → 저장공간/검색 효율 향상
  • 기본 키/식별자 설계: 단일 컬럼 또는 복합 키 고려
  • 외래키(FK) 관계: 무분별한 FK는 INSERT/UPDATE 성능 저하, 데이터 무결성 균형 필요

2. 인덱스 설계

  • 단일 컬럼 인덱스: 자주 조회되는 컬럼 우선
  • 복합 인덱스: WHERE, JOIN 조건 컬럼 순서 중요
  • 인덱스 남발 금지: INSERT/UPDATE/DELETE 성능 저하
  • 유니크 인덱스 활용: 중복 방지 + 조회 성능 향상

3. 정규화 vs 반정규화

  • 정규화(Normalization): 데이터 중복 최소화, 무결성 확보
  • 반정규화(Denormalization): 조회 성능 향상, JOIN 감소
  • 실무 접근: 핵심 트랜잭션 테이블은 정규화 유지, 조회 중심 테이블은 반정규화 고려

4. 파티셔닝 전략

  • 목적: 대용량 데이터 관리 효율, 쿼리 성능 향상, 유지보수 편의
  • 종류: Range, List, Hash, Composite
  • 적용 사례: 로그 테이블, 주문/거래 테이블, 월별/연도별 데이터

5. 테이블 구조 튜닝 팁

  1. 컬럼 순서: 자주 검색/조인 컬럼 앞쪽 배치 → 레코드 스캔 최소화
  2. 적절한 자료형: INT, BIGINT, DATE 등 정확한 타입 사용
  3. TEXT/BLOB 컬럼 분리: 필요시 별도 테이블로 분리 → 메모리/IO 효율
  4. 인덱스 커버링 활용: SELECT 컬럼 포함 인덱스 → 쿼리 성능 향상
  5. 정기적 통계 수집: 옵티마이저 정확도 유지

6. 실전 설계 고려사항

  • 업무 요구사항 기반 스키마 설계 + 확장성 확보
  • 트랜잭션과 조회 패턴 분석 → 정규화/반정규화 결정
  • 파티셔닝, 클러스터링, 인덱스 설계 종합 적용
  • 모니터링 도구와 함께 구조적 병목점 확인

7. 마무리

  • 데이터베이스 구조 튜닝은 설계 초기 단계부터 쿼리 성능과 저장 효율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인덱스, 파티셔닝, 정규화/반정규화, 컬럼 설계, 자료형 최적화가 핵심 포인트입니다.
  • 다음 학습: 실전 튜닝 통계와 파티셔닝 활용, 커서/바인딩 변수 최적화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