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1 Vue3에서의 상태 관리: ref()와 reactive()의 차이와 사용법 Vue3에서는 Composition API를 통해 상태를 정의하는 방식이 달라졌습니다. 특히,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핵심 함수는 바로 ref()와 reactive()입니다. 이 둘의 차이와 사용법을 잘 이해하면 Vue3의 반응형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어요.1. ref()란?ref()는 기본형 데이터 또는 단일 값을 반응형으로 만들기 위한 함수입니다. 숫자, 문자열, 불리언 등 프리미티브 타입을 주로 감쌀 때 사용합니다.import { ref } from 'vue'const count = ref(0) // 숫자 상태const message = ref('hi') // 문자열 상태.value로 실제 값에 접근하거나 수정해야 함템플릿에서는 .value 없이 바로 사용 가능console.lo.. 2025. 7.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