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2

SELECT 구문과 조건절 완전정복 SQL은 데이터를 조회, 삽입, 수정,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이 중 가장 자주 쓰이는 명령어가 바로 SELECT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ELECT 구문의 기본 구조부터 WHERE 조건절을 활용한 데이터 필터링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SELECT 구문의 기본 구조SQL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때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따릅니다.SELECT 컬럼명1, 컬럼명2, ...FROM 테이블명WHERE 조건ORDER BY 정렬기준LIMIT 행개수;가장 기본적인 SELECT 구문은 SELECT * FROM 테이블명; 처럼 사용하여 모든 컬럼을 조회할 수 있어요.2. SELECT 예제 살펴보기예를 들어, employees 테이블에서 모든 데이터를 조회하고 싶다면?SELECT * FROM employees;.. 2025. 8. 4.
SQL 기본 문법 총정리 (DDL, DML, DCL)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정의하고 조작하고 통제하는 언어입니다. SQL 문법은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구조 정의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DCL (Data Control Language) – 권한 및 트랜잭션 제어각 문법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 필수적이며, 실무와 시험 모두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1. DDL: 데이터 정의어DDL은 테이블, 인덱스, 뷰 등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자체를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들은 트랜잭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부분 자동 커밋됩니다.주요 명령어와 기능명령.. 2025. 8. 2.
데이터 무결성과 제약조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기반 아무리 구조가 잘 짜인 데이터베이스라도, 그 안에 있는 데이터가 신뢰할 수 없다면 시스템 전체가 무너질 수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이 바로 데이터 무결성(Integrity)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 무결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보장하기 위한 제약조건(Constraints)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데이터 무결성이란?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이란 데이터가 정확하고, 일관되며, 신뢰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데이터가 잘못되거나 중복되거나 논리적으로 틀리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죠. 📌 무결성 =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능력2. 무결성의 종류무결성 종류설명개체 무결성기본 키(PK)는 반드시 고유하고 NULL 불가도메.. 2025. 8. 2.
정규화와 이상 현상: 데이터 구조를 더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만드는 법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가장 자주 듣게 되는 말 중 하나가 바로 "정규화(Normalization)"입니다. 정규화는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현실 세계의 데이터 이상 현상을 방지하고 구조를 정리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규화의 개념과 각 단계, 그리고 정규화를 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1. 정규화란 무엇인가?정규화는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고, 데이터 간의 논리적인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조화 과정입니다. 정규화의 목적중복 데이터 제거데이터 무결성 유지이상 현상 방지구조의 일관성과 유지보수성 향상2. 정규화를 하지 않으면 생기는 문제: 이상 현상(Anomaly)정규화가 왜 중요한지를 이해하려면, 먼저 이상 현상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삽입 .. 2025. 8. 1.